도원역에서 동인천역까지 인천도원역에서 동인천역까지 문화유적걷기 솔새김남식 오늘은 인천 도원역에서 동인천역까지 주변의 문화유적을 찾아 걷기로 하고 집을 나섰다종로3가에서 도원역까지 1시간 30분 소요 되었다 도원역은 1897년 경인선의 기공식이 열렸던 곳으로 제물포 방향으로 약 150m 지점에 한국 최초.. 기행/역사기행 2017.03.27
개화파의 선구자 홍영식 묘 개화파의선구자 홍영식(1855 ~ 1884)墓 솔새김남식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에 가려진 개화파의 선구자 홍영식의 묘를 찾아 볼셈으로 따뜻한 어느날 집을 나섰다. 당시 홍영식은 청군에 의해서 무참히 살해 되었으며 아울러 그의 집안도 불행을 당했다 홍영식의 묘가 여주에 있다는 것을 아.. 기행/역사기행 2017.03.14
김옥균과 갑신정변 갑신정변과 김옥균의묘 솔새김남식 한시대의 풍운아 이면서 조선의 약점을 극복하려 했던 김옥균(1851~ 1894)의 墓(유허지)는 충청남도 기념물 제 13-1호로 아산 방조제에서 아산시로 내려가는 39번국도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 영인면소재지에 있다 김옥균은 구한말 개화와 개혁을 주장하는 .. 기행/역사기행 2017.03.01
운초 김부용 운초김부용 김이양 묘 솔새김남식 충남 아산시 광덕산으로 오르는 길목 입구인 광덕사에서 오른쪽 산길을 10여분 가량 올라가면 낡은 목판으로 된 부용묘 이정표가 있다 김운초(金雲楚)[1820~1869] 호는 부용(芙蓉) 황해도 성천에서 가난한 선비의 무남독녀로 태어나 네살때 글을 배우기 시작하여 열살때 당시(唐詩)와 사서삼경에 통 했다고 한다 그러나 양가 부모님을 일찍 여의고 어려서 퇴기의 수양딸로 들어가 기생의 길을 걷게 된다 김부용은 12세에 기적(妓籍)에 오른 기녀였지만 16세에 평안도 성천군민 백일장에서 장원하여 漢詩 350여 수를 남겼으며 시문집으로는 『운초당시고(雲楚堂詩稿)』와 『오강루 문집(五江樓文集)』 등이 있다 부용의 묘가 발견된 것은 작가 정비석선생이 1975년 명기열전을 지으면서 여러 사.. 기행/역사기행 2017.02.26
감은사지 삼층석탑 감은사지 삼층석탑 감은사지는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동해안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절터이다 국보 제112호. 높이 13.4m. 동서로 건립된 두 탑의 규모와 형식은 동일하며 현존하는 석탑중 거탑에 속한다 기단은 상하 이중으로 되어 있고 지대석·중석·갑석은 12장의 석재로 이루.. 기행/역사기행 2017.02.23
세검정 부암동 나들이 세검정 부암동 나들이 솔새김남식 탕춘대 성곽(城郭)은 북한산(北漢山)의 지맥(地脈)을 따라 향로봉(香爐峰) 비봉(碑峰)을 거쳐 백운대까지 북한산성(北漢山城)과 연결되는 군사(軍事) 방어용(防禦用) 성곽(城郭)이다. 탕춘대성을 따라 홍제천으로 내려가는 길목에는 봄이면 개나리가 장.. 기행/역사기행 2016.12.20
홍은동 북한산 자락길 홍은동 북한산 자락길 포방터 위치는 홍은1동 이다 6.25 전쟁이후 많은 피난민들이 이곳에 모여 살게 되면서 자연히 시장도 생기면서 포방터시장이라 불리게 되었는데 시장입구 건물에는 포졸이 포를 쏘는 벽화 그림이 있다 무명용사 비석 북한산 자락길을 걷다 보면 낯선 무명용사 비석.. 기행/역사기행 2016.11.12
여주고달사지 여주고달사지 솔새김남식 위치; 경기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20-3 교통; 양평에서 여주로 나가는 37번 국도에서 이포대교를 지나 보통교차로 대신,용문으로 죄회전 15키로 전방 대신면을 지나 용문으로 나가는 88번도로 길목에 블루헤런이란 CC가 있는 은행나무 가로수길 고달사는 764년 신.. 기행/역사기행 2016.10.23
김좌진 장군묘 충남보령 청소면 김좌진 장군묘 솔새김남식 1920년 독립전쟁에서 가장 큰 전과를 올린 청산리 전투의 영웅 김좌진장군 그리고 그의 아들 김두한 . 김좌진장군 (1889년 ~ 1930년) 대한정의단 군사책임, 북로군정서 총사령관, 신민부 총사령관, 한국총연합회 주석 청산리대첩 대승 본관은 안동(.. 기행/역사기행 2016.10.23
해공신익희 생가 해공(海公) 신익희(申翼熙·1894∼1956)생가 솔새김남식 경기도 기념물 제134호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서하리 중부고속도로 광주IC를 나와서 우회전하는 곤지암으로 내려가는 해공로 군도를 따라 내려가면 5키로 지점에 있다 생가는 경안천 다리를 건너기 전이며 큰길 마을 입구에 동상과 .. 기행/역사기행 2016.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