띄어쓰기 규정 띄어쓰기 규정 1. 모든 단어는 띄어 쓰되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부산까지, 사람마다, 꽃이다 2.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것, 바, 줄, 수, 데, 뿐, 리, 듯, 체, 채, 양 3.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 .. 책방/시와창작 2012.10.07
어처구니(於處軀尼) 어처구니(於處軀尼) 어처구니 없다 라는 말은 한자어로'어디에다가 몸을 둘지 모른다는 의미로 상상 밖에 엄청나게 큰 물건이나 사람 또는 이 말은 '어이없다...는 말로 쓰이며. 멧돌의 손잡이의 원래 이름이 어처구니이다 책방/시와창작 2012.09.21
좋은 시를 쓰려면 좋은 시를 쓰려면 솔새김남식 -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해서 써야 한다. - 적어진 글을 소리내어 읽으면서 문맥의 흐름을 다듬는다. - 우연한 기회에 스치는 영감을 메모해 두었다가 적당한 시어로 옷입히기를 한다. - 메모하는 습관을 가진다. - 추상과 구상을 적당하게 배분한다. - 직유보다.. 책방/시와창작 2012.09.13
시의 운율과 표현방법 시의 운율과 표현 詩란 작가의 사상과 감정 즉 하고픈 말을 운율이 있는 언어를 이용해서 압축시켜 나타내는 문학이다 1. 시의 운율을 형성하는 요소 (1) 같은 음, 단어, 구절, 문장의 반복 예) 해바라기 씨를 심자 / 담 모롱이 참새 눈 숨기고 / 해바라기 씨를 심자 (2) 일정한 글자 수의 반복 (음수율) 예) 이 몸이 / 죽고 죽어 / 일백 번 / 고쳐 죽어 → 3.4자의 글자 수가 일정하게 반복됨 (3) 일정한 음보 수의 반복 (음보율) 예) 엄마야 / 누나야 / 강변 살자. 뜰에는 / 반짝이는 / 금모래빛 → 한 행이 3음보로 구성되어 운율이 형성됨 (4) 같은 문장 구조의 반복 (음위율) 예) 벚꽃 지는 걸 보니 / 푸른 솔이 좋아 / 푸른 솔 좋아하다 보니 / 벚꽃마저 좋아 → 같은 문장구조.. 책방/시와창작 2012.08.25
시 창작을 위한 10가지 방법 시 창작을 위한 10가지 방법 1. 동물의 이름을 머리와 가슴속에 넣고 다녀라. (조류,곤충류,어패류,동물들의 이름을 가령 종달새,굴뚝새, 파리,물거미,달이, 소라고동, 바다사자, 고양이 등) 2. 바람과 쉼 없이 마주하라. (동서남북 바람, 강바람, 산바람,의인화한 바람까지도) 3. 기후와 계절.. 책방/시와창작 2012.07.24
틀리기 쉬운 우리말 100가지 틀리기 쉬운 우리말 100가지 1. 아기가 책을 꺼꾸로 보고 있다.(꺼꾸로 → 거꾸로) 2. 소가 언덕빼기에서 놀고 있구나.(언덕빼기 → 언덕배기) 3. 딱다구리가 쉴새없이 나무를 쪼고 있다.(딱다구리 → 딱따구리) 4. 땀에서 짭잘한 맛이 났다.(짭잘한 → 짭짤한) 5. 오늘은 페품을 내는 날이다.(페.. 책방/시와창작 2012.07.09
원고교정 부호 [교정부호 및 문장부호] 1. 교정부호의 사용법 ·정해진 교정부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의미가 명확하게 전달되도록 깨끗이 정서하여 가지런히 표기합니다. ·교정부호 색깔은 원고의 색과 다르고 눈에 잘 띄는 색으로 합니다. ·교정부호나 글자는 명확하고, 간략하게 표기합니다. ·.. 책방/시와창작 2012.07.05
시 낭송법 낭송법 요약 ◇낭독: 설명문이나 진술 등의 산문을 읽는 것 ◇낭송: 독자들에게 공감을 줄 수 있도록 감정(운율을 타서)을 넣어 읽는 것(암송이 기본) ◇낭송의 목적 詩라는 고급예술을 청각의 울림을 통해 또 다른 예술의 가치로 이끌어 내는 것이 시낭송의 묘미이다 따라서 시를 올바로 .. 책방/시와창작 2012.05.26
시쓰기 방법 시쓰기 방법 1. 소제와 주제 선정 - 겪은 여러 가지 일들을 되살려서, 소제가 될 만한 것들을 찾아본다. 2. 글감 고르기 - 가장 또렷하게 마음에 남아 있는 것을 하나 고른다. 3. 구성하기 - 정해진 글감을 가지고, 글의 맥락대로 구성한다. 4. 표현하기 - 글의 유형과 표현 기법을 정해서 원고.. 책방/시와창작 2012.05.14
혼동하여 쓰는 말 혼동하여 쓰는 말 우리 말을 쓰다가 보면 혼동하여 쓰는 말들이 많이 있다 몇가지 추려보았는데 우리말 사용에 혼동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봉오리 : 망울만 맺히고 아직 피지 않은 꽃을 가리킴. │ ex) 이제 막 봉오리가 맺을락 말락 하는 할미꽃…. ≪김원일, 불의 제전≫ └ .. 책방/시와창작 2012.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