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개국을 이끈 사람들 조선왕조 개국을 이끈 사람들 새왕조를 꿈꾸는 혁명가들 개혁론자들은 이성계를 왕으로 옹립하고 새로운 왕조를 주창해야 한다는 역성혁명론자들과, 고려왕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성리학 사상을 중심으로 고려를 개혁해야 한다는 고려개혁론자로 나뉘어진다. 역성혁명론의 대표격은 .. 역사/고려조선 2014.01.30
고려왕조 가계도 고려왕조 가계도 (918~1392, 473년간, 총 34대) 장화왕후신명왕후1태조 太祖 918~943신정왕후정덕왕후신성왕후2혜종 惠宗 943~9453정종 定宗 945~9494광종 光宗 949~975대목왕후대종선의왕후안종5경종 景宗 975~981헌애왕후6성종 成宗 981~997헌정왕후7목종 穆宗 997~1009원성왕후8현종 顯宗 1009~1031원혜왕후.. 역사/고려조선 2013.06.14
단절(斷絶)로 점철(點綴)되는 조선후기 역사 (1.) 선조영조철종고종 선조영조철종고종으로 이어지는 단절로 점철되는 조선후기 역사(1.) 정리 솔새김남식 *점철 = 흐트러지는 것 양자(養子)로 들어가 권력 잡은 첫 조선 임금은 제14대 선조이다 조선 왕실에서 방계(傍系)로 입승(入承;왕족의 한사람이 아들없는 임금밑으로 들어가 대를이음) 해서 대통을 이은.. 역사/고려조선 2013.06.12
단절된 조선 후기역사(2.) 영친왕과의친왕 단절된 조선의 후기 역사 (2.) 정리/ 솔새김남식 순종은 순명효황후 민씨와 순정효황후 윤씨, 두명의 부인을 두었으나 자녀를 두지 못했다. 다시 입승하여 대통을 이여야 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대상에 오른 사람은 이복 동생인 영친왕(英親王) 이은(李垠). 결국 순종의 이복 동생인 즉 고.. 역사/고려조선 2013.06.01
임금호칭에 조와 종으로 부른이유 임금호칭에 조(세조)와 종(세종)으로 부른이유 조선시대 임금은 특별한 절차나 법칙에의하여 호칭이 정해지지는않으나, 종은 덕이 많은 임금에게 쓰였으며, 조는 업적이 많은 임금에게 붙혔습니다. 그러나 이 호칭은 보통 사후에 기록되므로 업적이나 치적의 평가가 다를수 있으므로 객.. 역사/고려조선 2012.08.24
정도전의 생애 정도전 鄭道傳 1342(충혜왕3)~1398(태조7) 고려말 조선초의 정치학자 태조 7년(1398) 8월 정도전이 남은(南誾)의 소실(妾)에서 대신들과 담소하고 있을 때 이방원이 한밤 중에 쳐들어가 살해된다. 1398년 진법 훈련을 강화하면서 요동정벌을 추진하고, 태조로 하여금 절제사를 혁파하여 관군(官.. 역사/고려조선 2012.08.06
조선왕조 가계도 조선왕조 가계도 위키백과, 조선의 임금들은 전주 이씨의 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다. 이후 나라의 이름을 대한제국으로 바꾸면서 1910년까지 황제가 되어 나라를 다스렸으며, 국권을 빼앗긴 이후로는 국정의 실권은 없지만 ‘황실의 수장’으로서의 자.. 역사/고려조선 2012.03.23
조선을 망가뜨린 세여자 조선을 망가뜨린 세 여자 정리 김남식 1.) 문정왕후 윤씨 (1501년~1565년 중종의 계비) 조선 왕조를 통틀어 손꼽히는 독부(毒婦)로 꼽힌다. 그가 죽은 날 조선왕조실록에는 ‘서경에 이르기를 암탉이 새벽에 울면 집안이 망한다 했으니, 바로 윤씨 같은 이를 가리킨 것이다 (牝雞之晨, 惟家之.. 역사/고려조선 2011.09.07
여주 영릉 여주 영릉 솔새김남식 세종 (世宗) 휘(諱) 도(孕). 자 원정(元正). 시호 장헌(莊憲). 태종의 셋째 아들로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 소생. 비(妃)는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심온(沈溫)의 딸 소헌왕후(昭憲王后). 1408년(태종 8) 충녕군(忠寧君)에 봉군, 1413년(태종 13)에 대군이 되고 1418년에.. 역사/고려조선 2011.08.07
조선국에서 세자로 살아가기 조선시대 세자로 살아가기 정리 김남식 . 조선왕조 518년 동안 조선에는 모두 27명의 왕과 29명의 세자가 있었다. 조선국에서 세자로 살아 가기에는 고난과 고충 그리고 위험이 항상 따랐다. 왕비의 첫째 아들(적장자)인 원자가 세자로 책봉된 뒤 왕위에 오르는 것이 조선 왕실의 원칙이었.. 역사/고려조선 2011.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