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가지 예절문화 상식 몇가지 예절문화 상식 정리 솔새김남식 제사 지낼때 향을 사르는 이유 동양의 제례에 향을 태우기 시작한 것은 불교가 전래된 이후부터 라고하며 원래 제례에는 쑥을 태웠는데 불교와 함께 향이 전래 되면서 쑥보다 향긋한 냄새를 피워 하늘에 계실지 모를 혼령을 모시게 되었다고 합니.. 역사/일반상식 2013.06.26
알아두면 상식이 될만한 단어 알아두면 常識이 될만한 單語 . 이런 單語를 알아야 新聞도 理解가 되고 TV도 理解가 되는 世上이니 不得不 알아 두어야 하겠습니다 !! 1) concep 컨셉(cot) = generalized idea (개념, 관념,일반적인 생각) 2) 아이템(item) = 핵심내용......품목, 종목, 항목 3) CEO = Chief Executive Officer(경영 최고책임자) 4) .. 역사/일반상식 2013.06.24
삼재(三災)를 아는가요? 삼재(三災) 천살(천殺), 지살(地殺), 인살(人殺)을 두고 삼재라 한다 삼재는 어느 누구나 12년마다 누구에게나 한번씩은 돌아오게 되어 있고 세상에 삼재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은 한 사람도 없으며 삼재에 대한 일반적 상식을 잘 알아두었다가 앞으로 살아가면서 생활하시는데 참고 하길 바.. 역사/일반상식 2013.06.20
대한민국은 어떤 나라일까? 대한민국은 어떤 나라일까? 전 세계 229개 국가 중에 영토 보유 규모 102위( 매우 작음) 전 세계 229개 국가 중에 인구 보유 규모 26위 그러나, 대한민국 세계 경제력 11위(2005 OECD 통계) 대한민국 세계 군사력 15위(핵 무기 제외시 6위- 2003, 영국,rusi통계) 4세대 통신망 와이브로 전매 특허 국가 .. 역사/일반상식 2013.06.20
전세계 국가수 몇개 일까? 전세계 국가수 과연 몇개일까? 솔새김남식 UN이 가장 공신력있는 기구이므로 UN 회원국 수는 2011년 남수단을 가입 끝으로 2020년 1월 현재 193개국 이다 하지만 그외 여러가지 종류의 통계자료가 있다. * 세계 지도 정보 : 237개국 * 세계 은행 통계 : 229개국 * 국제 축구연맹 : 208개국 * * 한국의 수출국(통계청) : 224개국 * 코카콜라가 판매되는 나라 : 199개국 그러면 왜 이렇게 국가 수가 다를까요..? 그만큼 독립과 관련된 분쟁지역이 많다는 이야기이다. 대충 보면 230~240개 정도의 국가가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즉 20여개 정도의 국가가 '국가'로 인정받기 위해 지금도 여러가지 조건을 두고 싸우고 있다. 독립 국가지만 유엔 회원국이 아닌 나라 ; 바티칸시티.코소보.대.. 역사/일반상식 2013.06.17
순국선열과 호국영령 순국선열과 호국영령 솔새김남식 공식적인 행사에서 우리는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대하여 묵념을 한다 그렇다면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은 무슨 뜻일까 ? 그 정의를 다음과 같이 적어 본다 동작동 국립 현충원의 설립 취지와 존재 자체를 다음과 같이 적어 두고 있다. “일제에 빼앗겼던 .. 역사/일반상식 2013.06.17
한강다리는 모두 몇개일까 한강다리는 총모두 몇개일까 솔새김남식 우리나라 경제발전 기적의 한강이 6 25 때는 사람이 다닐수 있는 다리는 달랑 두개였다 한강 인도교와 광진교 그리고 한강철교 1950년 6월 한국전쟁이 발발한지 4일 후인 6월 29일 폭파해서 당시 피난가던 수많은 사람들이 떨어저 죽었다 서울을 지.. 역사/대한민국 2013.06.17
고려왕조 가계도 고려왕조 가계도 (918~1392, 473년간, 총 34대) 장화왕후신명왕후1태조 太祖 918~943신정왕후정덕왕후신성왕후2혜종 惠宗 943~9453정종 定宗 945~9494광종 光宗 949~975대목왕후대종선의왕후안종5경종 景宗 975~981헌애왕후6성종 成宗 981~997헌정왕후7목종 穆宗 997~1009원성왕후8현종 顯宗 1009~1031원혜왕후.. 역사/고려조선 2013.06.14
단절(斷絶)로 점철(點綴)되는 조선후기 역사 (1.) 선조영조철종고종 선조영조철종고종으로 이어지는 단절로 점철되는 조선후기 역사(1.) 정리 솔새김남식 *점철 = 흐트러지는 것 양자(養子)로 들어가 권력 잡은 첫 조선 임금은 제14대 선조이다 조선 왕실에서 방계(傍系)로 입승(入承;왕족의 한사람이 아들없는 임금밑으로 들어가 대를이음) 해서 대통을 이은.. 역사/고려조선 2013.06.12
산태미 산태미 삼태기를 의미하는 충청도 사투리 쓰레기·거름·흙·곡식 등을 담아 나르는 물건 산태미 갖다가 아궁이에 있는 재 좀 퍼서 밭에 뿌려라. 촬영 ; 예산에서 역사/옛날그때 201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