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릉(溫陵) 솔새김남식
온릉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제11대 중종의 첫 번째 부인이었던
단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 1487~1557)의 능이다
미공개 왕릉인데다 다소 외딴 지역에 있어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39번 국도와 인접하며
교외선 온릉역과 장흥역 사이에 있어 찾아가는 것이 어렵지는 않다.
단 서오릉관리소에서 사전에 허가를 받고 방문해야 한다.
단경왕후는 성희안, 박원종 등이 일으킨 중종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곧바로 왕비로 책봉되었다.
박원종은 연산군의 신임이 두터워 도부승지, 좌부승지, 경기관찰사 등을 거치며 국가의 재정을 주로 맡았다.
당시 중종반정은 신하들이 주체가 되어 그들 뜻대로 왕위를 교체한 사건으로서
갑자기 왕위에 오르게 된 중종은 공신이 중심이 된 정치에 이끌려 갈 수 밖에 없었다
단경왕후가 폐출되는 연유는 매우 복잡하다.
단경왕후는 12세 때 성종의 차남인 진성대군(중종)과 가례를 올렸다.
그런데 진성대군의 형인 연산군이 반정으로 폐위되자 19세 나이에 진성대군이 왕으로 옹립되면서 왕비가 된다
단 7일간의 왕비 단경왕후 그리고 겨우 1년 남짓 왕비를 한 단종의 정순왕후가 조선역사에서
홀연단신 獨身으로 獨守空房을 한 제일 불행한 왕비였다
당시 단경왕후의 부친 익창부원군 신수근이 妹夫 연산군 편에서 중종반정을 반대하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
반정이 일어나기 전 우의정 강귀손이 반정 계획에 동조한 후 좌의정이었던 신수근에게
"누이와 딸 중에 누가 더 가까우냐" 라고 묻자
신수근은 "매부 연산군을 폐하고 사위인 진성대군을 세우는 일은 절대 용납 할 수 없다" 라고 답 하였다.
단경왕후는 연산군의 처조카이며 이복동생 중종의 부인이고 단경왕후에게 연산군은 고모부이자 시아주버니였다.
단경왕후 신씨의 친정아버지 신수근은 권력 욕이 강한 인물이었다.
자신의 누이 동생을 연산군의 부인으로 밀어 넣고 그의 딸은 임금의 이복동생 진성대군(훗날중종)과 정략적 결혼을 시킨다
그래서 세간에 떠도는 훈수로는 훗날을 위해 보험을 들어놓은 것이었으나 후에 커다란 낭패를 보게 되는데.....
그리고 박원종은 신수근의 마음을 움직일 수 없음을 알고 신윤무를 보내 그를 수각교(水閣橋 現 남대문시장앞) 다리위에서
정몽주처럼 철퇴를 맞아 이슬로 사라지게 되는데 누이와 딸 중 누이를 택한 것이 화를 불러 일으킨 것이다
단경왕후가 왕비가 되자 곧바로 반정 공신들이 벌떼같이 일어났다.
죄인의 딸은 왕비로 부적절하다며 단경왕후의 폐위를 요청하자 결국 중종은 종사가 중하니 사사로운 정을 생각할 수 없다며
왕비를 책봉 7일 만에 폐출하라는 명을 내린다.
단경왕후는 폐출되자마자 세조의 사위인 정현조(영의정 정인지의 아들)의 집으로 쫓겨났다가 본가로 돌아 가는데
이때 나이 20세로 그녀는 71세에 죽을 때까지 자식 한 명 없이 중종의 사랑이 되돌아 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리며 세월을 보냈다.
중종이 즐겨 타던 말을 보냈더니 단경왕후가 왕을 보듯이 쌀죽을 쑤어 먹였다는 일화도 있고
중종이 단경왕후의 집 쪽을 바라보며 그리워하니 단경왕후는 분홍치마를 바위에 걸쳐놓아 화답했다는
일화도 있가 인왕산 치마바위 전설이 있다
그러나 그것이 사실인지가 무색할 정도로 중종에게서 멀어진 여인이었다
野史에서는 중종이 죽기 며칠전 조강지처 신씨를 宮에 잠시 불러 들였다는데 ...........
이것이 사실이라면 중종의 자기 욕심일뿐 신씨를 두번 죽이는 고통이었을 것이다.
계비인 장경왕후가 인종을 낳고 1515년 산후병으로 6일 만에 죽자 신하들 사이에서 단경왕후를 복위하자는 건의가 나왔다
그러나 중종은 이를 물리치며 오히려 건의한 사람들을 유배 보내면서 장경왕후 곁에 묻히고 싶은 마음을 토로하며
쌍릉 자리를 마련하라고 까지 했는데 이미 이때는 박원종도 죽고 반정세력의 힘도 약할 때 였다
1515년 담양부사 박상(朴祥)과 순창군수 김정(金淨)이 단경왕후 복위 상소문을 올렸으나 중종과
대왕대비 정현왕후(성종비)의 진노로 인하여 나주로 유배를 당하였다
하지만 중종은 단경왕후를 복위하지않고 1517년 제2계비 문정왕후를 얻게 되는데
결국 중종에게 단경왕후는 잊혀진 여인이었던 것이다.
중종의 능은 처음에는 장경왕후 희릉(서오릉) 곁에 조성되었지만 장마철이 되면 침수가 되자
사후 12년뒤 1562년 문정왕후에 의해서 강남 삼성동으로 이장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는데 .......
단경왕후는 중종보다 13년 더 살다가 1557년(명종 12년) 71세의 나이에 사망하자 왕후(王后) 시부모의 例에 따라
이등례(二等禮)로 상을 치루고 사가에 묻히게 된다
정려문에서 참도를 통해 전면으로 정자각이 우측으로 비각이 보이며 정자각은 익공식 맞배지붕이다.
병풍석과 난간석이 생략되었으며 곡장 내에 석양 석호 각 1쌍을 배치했으며
봉분 앞에 혼유석 1좌 양측에 망주석 1쌍을 세웠고 망주석의 세호는 우주 상행 좌주 하행의 원칙에 충실하고
동물 석상을 절반으로 줄인 것은 추봉된 왕비 능의 예에 따른 것이다.
그후 1698년 숙종은 연경궁 내에 사당을 세워 춘추로 제사지내게 하고 한식에는 묘제를 지내게 했으며
死後 180년이 지난 1739년 영조 15년에 김태남등의 상소로 왕후로 복위하고 익호를 단경, 능호를 온릉으로 추봉하였고
그의 부친 신수근을 비롯하여 가족도 복권되어 존위를 받았다
온릉에 있는 나무 두 그루가 연리지처럼 서로 얼싸 않은채 자라고 있어 그리움에 단경왕후를 더욱 생각나게 하였다.
여기서 멀지않은 장흥유원지 부근에 대의를 위하여 목숨과 모든 영화를 버린 충신의 표본이라고 신수근 형제에게
삼충신이라고 1739년 영조가 내린 어찰과 정려문 그리고 경모사가 있으며 지금까지도 거창신씨 가문에서는 문화재등록을
거부한채 자랑으로 삼고 종친에서 직접 사람이 관리하고 있다
전설이 내려오는 인왕산 치마바위
한때는 서울사람들의 유원지로 번창했던 일영유원지 끝머리에 있는 옛날 교외선 기차가 서던 온릉역
당시 주말이면 온통 기차가 만석이 되어서 송추,일영,장흥유원지로 나들이를 왔었다
지금은 폐역으로 폐철로 녹쓸은 선로가 사람들이 열차가 다시오기를 기다리며 지키고 있다
한때는 교외선 부활을 논의 했었으나 지금은 오리무중이다
온릉 교통편
대중교통 = 1호선 가능역앞 Ehsms또는 3호선 연신내역에서 의정부<-> 불광동을 운행하는 360번 버스를 타고
신흥유원지(舊일영유원지)입구 정류장에서 내리면 온릉 이정표가 바로 보인다
자 가 용 = 고양 의정부간 39번 구도 장흥역 2키로 전방 네비 온릉역 또는 온릉
관련글 => 크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