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이란 현액을 세로로 쓴 이유
1. 조선은 인의예지의 이념 위에 세워진 국가이고, 숭례문은 그 중 '예'를 상징한다.
2. 관악산의 화기를 누르기 위하여, 숭(崇)과 례(禮)라는 모두 한학에서 불에 해당하는 글자들을
남쪽에 두어, 관악산의 화기에 맞불을 놓아, 국가적으로 좋지 않은 일을 막는다.
3. 현판이 세로로 쓰여진 까닭은, 숭과 례라고 하는 불을 상징하는 글자들이 더욱 더 활활
잘 타오르도록 하여, 2번의 목적을 더 잘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조선 초기 도읍 터를 정하는 과정에 있었던 무학(無學)대사와 정도전(鄭道傳)의 의견 대립이 있었다
관악산을 정남향으로 바라보고 궁궐을 세우면, 관악산의 살기가 궁성(宮城)을 위압하여
국가가 평안치 않다는 무학대사의 주장이 먼저 있었다.
화기는 화재와 병란을 암시한다.
그러자 남쪽에 둘리어진 큰 강물인 한강이 관악산의 화기(火氣)를 막아내니
관악산을 바라보며 정남향으로 궁궐을 세워도 무방하다는 정도전의 주장이 대두하였다.
결국, 궁궐은 정도전의 의견에 따라 관악산을 바라보며 정남향을 하고 세워졌다.
그런데 이게 무슨 일일까?
한양에정도(定都)한 이후로 도성에는 왕자의 난과 화재가 연이었다.
그래서 풍수설에 따라 불의 산인 관악산과 삼성산의 불기를 끊는다는 비보책(裨補策)으로
서울 남대문 바로 앞에 남지(南池)라는 연못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였다
연못뿐만이 아니다. 남대문의 현판에 숭례문(崇禮門)이란 글씨도 결국 세로로 쓰여지게 되었다.
현액(懸額)의 글씨는 가로로 쓰는 것이 관례이다.
숭례문이란 현액을 세로로 쓴 것은
관악산과 삼성산의 화기가 도성으로 번지는 것을 막는다는 의미에서였다.
숭(崇)은 불꽃이 타오르는 모습을 본뜬 상형문자이다.
그리고 예(禮)란 글자를 오행(五行)으로 따져보면, 이는 화(火)에 속한다.
화를 오방(五方)으로 따지면 남(南)에 해당한다.
따라서 남쪽에 불을 지른다는 뜻이 되니, 이는 맞불 작전인 셈이다.
그리고 모양으로 보아, 숭례(崇禮)라는 글자를 세로로 써야 불이 더 잘 타오를 수 있다.
그래서 활활 타오르는 숭례문의 화기로 불산에서 옮겨오는 불을 막을 수 있다고 여겼다.
그런데 더욱 재미있는 사실은
세로로 쓴 숭례문의 현판이 정도전의 솜씨라는 점이다.
결국은 정도전이 무학대사에게 지고만 꼴이 되었다.
'역사 > 고려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을사오적 (0) | 2010.10.29 |
---|---|
인조반정의 공훈 이서 장군 (0) | 2010.09.30 |
조선국 3대 태종 (0) | 2010.07.16 |
조선왕릉터 어떻게 잡았나? (0) | 2010.01.28 |
진령군 (0) | 2009.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