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국가
정치 . 행정 . 경제 등과 관련되어 국가 주도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체제라고 할 수 있겠다.
정당도 일당제이며 당이 국가의 초법적인 기관으로 당은 국가 헌법보다 우위에 있다
사유 재산제 대신에 재산의 공유를 실현시킴으로써 계급이 없는
평등 사회를 이룩하려는 사상 및 운동.
세계의 공산국가는 몇개 인가요
라오스 베트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쿠바, 중화인민공화국 등 5개국
참고로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지금도 엄연한 공산주의 국가이고.
라오스, 베트남,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쿠바도 여전히 공산주의 국가이지만,
공산당의 일당 독재 체제가 존재할 뿐,
대부분의 경우 경제 등 사회의 여러 분야에 자본주의 체제가 도입되고 있다,
[중국,베트남 같은 나라는 사회주의적 자본주의를 지향 바뀌고 있다, 예로 러시아이다]
공산주의국가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공산주의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공산주의란 말은 경제 용어로 자본주의 경제의 반대적 용어로 사용되며
민주주의의 반대가 공산주의라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즉 경제적으로 공산국가를 찾아야 합니다...
자본주의 국가중에 민주주의 국가가 있고 독재 국가가 있듯이
공산주의 국가에도 민주주의 국가와 독재 국가가 엄연히 존재하게된다
또하나 정치적인 용어에서 민주주의, 독재국가(전체국가), 사회주의가 있다
북한은 공산주의 국가 아니다
경제 형태로는 자본주의도 공산주의도 아닌 북한만의 방식인 경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정치적 형태가 사회주의 국가이므로 경제도 공산국가로 오인하는 것이다.
(김일성이 권력자가 되면서 모든 공산당 원들을 숙청하고 노동당만 존재하게 하였다
북한은 노동당 1당 독재국가이며 사회주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경제,정치 모두 북한만의 특이한 형태로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공산주의 국가는
그리스,벨기에,쿠바,중국,불가리아,체코,폴란드, 헝가리, 알바니아, 러시아,우크라이나,세르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몰타,유고슬라비아(유고연방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마케도니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예멘, 베트남등이 있다
그리고 현재 공산당및 사회당, 노동당등 부분적으로 사회주의 정치 형태 또는
공산주의 경제 형태를 가지고 있는 국가로...
프랑스,이탈리아,스위스,네덜란드,룩셈부르크,아일랜드,에스파냐,포르투갈,스웨덴,스페인,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키프로스,노르웨이,보스니아,이란,아르헨티나등이 있다.
공산국가 = 쿠바, 조선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사회주의국가 = 중화 인민 공화국
공산국가에서 민주주의국가로 되고 있는 국가 = 라오스
붕괴됀 공산국가 = 구소련, 동독
위험국가 = 소말리아,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
'역사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굴비와 조기의 차이 (0) | 2013.09.18 |
---|---|
제사에 쓰는 과일에 의미 (0) | 2013.09.02 |
베트남 전쟁 (0) | 2013.08.24 |
우리나라의 성씨별 인구 (0) | 2013.08.21 |
지구본이 옆으로 기울여진 이유? (0) | 2013.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