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일반상식

베트남 전쟁

시인김남식 2013. 8. 24. 11:32

베트남 전쟁                 김남식

 

1964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의 독립과 통일을 위하여 벌인 전쟁

1960년에 결성된 남베트남 민족 해방전선이 북베트남의 지원 아래 남베트남군 및 이들을 지원하는

미국군과 싸워 이겨 1969년에 임시 정부를 수립하였으며

미군 철수후 1975년에 남베트남 정부가 무너짐으로써 남북이 통일되었다


세계2차 대전후 1954년 제네바에서 열린 평화회담에서 베트남을 북위 17도선에서 남북으로 나누고 북에서는
호치민을 초대대통령으로 하는 베트남 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베트남 전쟁은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베트남이 프랑스를 물리치고 공산화되려하자

미국이 도미노 이론을 명분으로 베트남에 개입 전쟁이 격화된다.

 


도미노이론이란 도미노 카드처럼 한장이 넘어지면 줄줄히 이어서 넘어지는 것 처럼

한나라가 적화즉 공산화되면 라오스 타이등 옆나라도 같이 공산화된다는 이론으로 베트남 문제는 어느새

미국의 문제가 되어 버렸고 미국은 철저한 반공주의자이자 가톨릭 세력인 응오딘지엠을 총리로 내세웠고

응오딘지엠은 북부의 공산주의자를 철저하게 탄압하는 한편 정치적인 경쟁자까지 제거하는 독재자로 변해갔다.

 


응오딘지엠은 국민 투표를 통해 경쟁자 바오다이 전 황제를 밀어내고
베트남공화국의 대통령이 되는데 성공했지만 독재정치를 펼친 그의 인기는 형편없이 떨어졌다.
1959년,북베트남은 통일을 위한 새로운 군사조직을 만들었으며 민족해방 전선(NLF), 다른말로 베트콩이 바로 그것이다.


본격적인 게릴라전을 시작한 베트콩은 1960년 초 남부 베트남의 많은 지역을 장악하기에 이르렀고 이에 놀란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은 군사개입을 시작하고 1964년 미군의 통킹만 공습으로 베트남은 전면 전쟁으로 치닫게 된다


베트남 전쟁이 전면 전쟁으로 확대 되자 미국은 아시아의 집단 방어를 주장하게 되고
한국․호주.․타이.필리핀.뉴질랜드등 여러 나라에 파병을 요구, 전쟁은 차차 국제전으로 변해가고 있었다.
6.25 전쟁의 보답으로 우리도 연합군으로 전쟁에 참여를 하여 5,000 여명이 사망했다.

 


돈을 벌려고 갔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봐서 당시 얼마나 우리나라가 힘 들었는지 세삼 알수 있게 된다.

이후 1992년 공식수교가 재게되고 전쟁에 대한 피해를 공식적으로 사과한다.



1969년 2월, 공산군은 공격을 더욱 강화했고 승리의 희망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미국은

서서히 발을 뺄 궁리를 하고는 1972년 부터 극비로 미국-북베트남 사이에 협상이 시작하여 1973년 1월

미국과 공산군 사이에 파리 협정이 조인 되었다.

미군이 철수하는 조건으로 공산군과 남베트남군도 휴전한다는 내용이었지만 공산군이 조약을 지키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의심이 있었다.


미국은 조약에 따라 재빨리 베트남을 떠났고 그해 4월 공산군은 휴전 약속을 어기고 총 공격을 개시한다
1975년 1월에는 베트남 거의 전체가 공산군에 의해 장악 되었고 1975년 4월 30일 공산군 탱크가 사이공 대통령궁에

진입함으로써 베트남 공화국은 역사속으로 영원히 자취를 감추게 된다

 

 

30년간 벌어진 전쟁의 총성이 멎음과 함께 베트남은 마침내 숙원의 통일을 완성할 수 있었다.
이로써 1976년 통일 베트남은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으로 이름을 바꾸고 수립되게 된다.

 


베트남의 자유를 위해 우리 나라 젊은이들이 많이 희생되었지만 결국 공산국가가 되어 버린 베트남.
군정부의 부정부패,거둡되는 혼란과 분열 월맹의 속임수,끝없는 정치 갈등, 군사적 패배와, 무사 안일주의
우리도 남북이 갈리진 이 시점에서 유심히 보고 각성해야 되지 않을까 사료된다

 


1965년부터 1973년까지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 기간에 파병 국군장병이 해외근무 수당으로 벌어들인 수입은

총 2억 3556만 달러였다. 이 중 82.8%에 달하는 1억 9511만 달러가 국내로 송금되었고,

이 돈으로 경부고속도로 건설 등에 기여되었다.


전쟁에 조달할 군수물자 납품과 용역사업 투입 등으로 한국 기업들은 베트남전 특수(特需)를 톡톡히 누렸다.

국군의 파병 대가로 들어온 외화 송금에 힘입어 당시 내수산업과 수출이 성장하여 호황을 누리게 되었다.

 



전투병 파병 직전인 1964년 한국의 1인당 국민총생산(GNP)은 103달러에서 한국군 철수가 끝난 1974년에는

5배가 넘는 541달러로 국민 소득을 향상되었다.

또한 월남 참전으로 M1 개런드등 재래식 병기와 군용장비에서 M16 소총 등으로 병기와 군용장비의

근대화와 개량 등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역사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사에 쓰는 과일에 의미  (0) 2013.09.02
공산국가  (0) 2013.08.24
우리나라의 성씨별 인구   (0) 2013.08.21
지구본이 옆으로 기울여진 이유?  (0) 2013.08.19
혼인빙자 간음죄 한다는 간통죄폐지  (0) 2013.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