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해,공군,군사기술력,물량등 모두 1등이다. 1위.미국 말이 필요가 없는 군사강국이다. 2위.러시아 소련붕괴와 소련해체로 군사력이 많이 약체화되었지만 여전히 미국다음으로 버금가는 군사강국2위를 유지하고있다. 육,해,공군,군사기술력 모두합쳐서 세계2위이며 미국다음으로 유일하게 5세대스텔스기를 보유한 국가이다.(대륙간탄도미사일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국가이며 3세대전차를 5000대 이상으로 보유한국가이기도 하다.) 또한 총 토지무기물량만해도 10만개는 가까이된다.(개다가 1,2,3세대전차를 합친 모든전차가 22000대가량이다.) 문제는 이러한 많은 무기들을 운영할 인력이 많지 않다는 점이다. 3위.중국 최근 중국의 군사력은 경제력의 막강한 성장과 함께 군사력도 매일같이 성장해왔다. 그 결과 2010년부터 일본을 제치고 제2의 경제대국이 되자 군비투자를 더더욱 열심히 한결과 세계 2위의 군비투자국이 되는것으로 끝나지않고 2년동안 세계군사력 3위를 확정하게되었다. 중국군의 재래식전력은 신식무기가 많기야 많지만 구식무기가 더 많다는점이다. 하지만 중국은 군사현대화를 매우 박차게 추진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스텔스전투기를 중국이 독자개발한것과 러시아로부터 항공모함을 헐값에 사들여 개량시킨 항공모함이 대표적이다. 앞으로 경제가 발전하면 발전할수록 군사력이 더욱 쌔지는 중국군이다.(시간이 흐르면 구식무기보다 신식무기가 더 많아지게된다.) 육군4위,공군3위,해군6위,군사기술력 8위 종합해서 세계3위의 군사력이다. 4위.영국 최근의 유럽의 재정악화와 경제위기로인해 군비가 축소되었지만 핵무기를 보유하고있고 유럽의 전통1인자답게 육군7위,해군3위,공군4위,군사기술력 5위 종합해서 세계군사력 4위국가다.
5위.프랑스 유럽의 재정악화와 경제악화로 군비가 영국과 마찬가지로 축소되었지만 과거의 강대국답게 육군 6위,해군5위,공군7위,군사기술력2위로 종합하였을때 세계군사력 5위 강대국이다. 6위.인도 흔히 사람들은 인도가 인구만많고 못사는 후진국이라는 이미지가 강한데 사실 인도는 세계군사력 10위권안에 드는 국가고 경제력은 우리나라보다 높다고 볼수있다. 인도는 흔히 아시아에서 중국에이어 군사력이 2번째로 쌘나라다. 현재는 중국,파키스탄과의 국경분쟁때문에 군비를 더 늘리고 있다. 육군9위,공군 10위,해군 9위로 종합하여 세계군사력 6위다. 7위.독일 애넨 어떻게 대체 군사력강국 7위가되었는지 모르겠다. 육군만 강한 나라인데....
8위.우리나라 북한과의 6.25전쟁으로 60년동안 군사력과 군사기술에 많은투자를 한 결과 세계군사력 9위에 올랐다. 특히 우리나라군사력중에서 가장은특징은 육군이 세계3위로 아주 강하다는 것이다. 육군3위,공군9위,해군10위로 종합해서 세계군사력8위다.
9위.이탈리아
문제는 이러한 많은 무기들을 운영할 인력이 많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총 토지무기물량만해도 10만개는 가까이된다.(개다가 1,2,3세대전차를 합친 모든전차가 22000대가량이다.)
육,해,공군,군사기술력 모두합쳐서 세계2위이며 미국다음으로 유일하게 5세대스텔스기를 보유한 국가이다.(대륙간탄도미사일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국가이며 3세대전차를 5000대 이상으로 보유한국가이기도 하다.)
2위.러시아
소련붕괴와 소련해체로 군사력이 많이 약체화되었지만 여전히 미국다음으로 버금가는 군사강국2위를 유지하고있다.
10위권안에드는것 자체가 아주 의심스럽다.
10위.이스라엘
이스라엘의 군사력은 4차례의 중동전쟁에서 미국의 지원과 이스라엘의 뛰어난 전략으로 4번 모두 승리하게된다.
이스라엘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중동전쟁에 대비해 항상 막강한 군사력을 대기시키고 있다.
육군8위,공군5위,해군10위권밖으로 종합하여 세계군사력10위다.
필자가보았을때 우리나라의 군사력은 예전에 7위였다가 8위로밀려났는데 왜인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통일되고 몇년지나고 안정되었을때는 군사력이 대략 5위정도는 될것같다.
(4위는 인도가,3위는 중국이 차지할가능성이 크기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