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 기초지식 전기안전 기초지식 전기는 가정, 직장, 공장, 빌딩, 아파트 등 국가 기간산업에 없어서는 안되는 줄 알면서도 중요시 다루지 아니하고 매일 매일 무의식 속에서 취급하고 있지는 안는가 생각하여 봅시다. 옛어른들께서는 전깃불이 도깨비 불이라고도 하고 신통한 불이라고 하여 무섭고 .. 역사/일반상식 2007.07.08
조선국 왕자 조선국 왕자 선계 궁진시중공(侍中公)용부평장사공(平章事公)양무주부공(主簿公)제왕별 목조대왕안천대군(安川大君) / 안원대군(安原大君) / 안풍대군(安豊大君) / 안창대군(安昌大君) / 안흥대군(安興大君)익조대왕함녕대군(咸寧大君) / 함창대군(咸昌大君) / 함원대군(咸原大君) / 함천.. 역사/고려조선 2007.07.07
‘공주(公主)’ ‘공주(公主)’ ‘공주(公主)’의 어원은 본디 중국 황제의 딸을 혼인시킬때 ‘삼공(三公)’이 ‘주관(主管)’ 했기에 단어가 주는 공주가 그만큼 귀한 사람이었음을 의미하는데 그렇다면 조선시대 공주의 삶은 어땠을까? 최고 권력자인 왕과, 전국의 처녀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간택에서.. 역사/고려조선 2007.07.03
장릉배식록 수록자 장릉배식록 수록자 육종영(六宗英)은 단종을 위해 세조와 맞서다 죽임을 당한 6명의 종친을 가리킨다. 안평대군 이용 · 금성대군 이유 · 화의군 이영 · 한남군 이어 · 영풍군 이천 · 하령군 이양 4명의 의로운 외척 판돈녕부사 송현수 · 예조판서 권자신 · 영양위 정종 · 돈녕부판.. 역사/고려조선 2007.06.25
열두띠 순서, 어떻게 정했을까? 열두띠 순서, 어떻게 정했을까? 김남식 매년 해가 바뀌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습속이 있다. 바로 ‘띠이다. 예부터 우리 선조들은 열두 동물들의 이름을 붙여 ’무슨 무슨 띠‘라고 불렀다. 때문에 태어나는 순간 띠는 운명적으로 정해져 싫든 좋든 평생 따라 다닌다. 나이를 물을 때도 몇 .. 역사/일반상식 2007.02.08
요강 요강 신분에 따라 부富 에 따라서 요강의 차이도 달랐다 일상의 그릇들도 이 같이 소꿉장난 도구처럼 껴묻거리로 무덤에 넣어준 뜻은 저승에 가서도 현세와 같은 삶을 누리라는 애뜻한 정성인 것이다. 역사/옛날그때 2006.11.17
경례와 악수 예절 경례와 악수 예절 ■ 경례의 종류와 방법 한복을 입고 경례할 때는 반드시 공수해야 되고, 양복을 입었을 때도 조직생활이나 제복(制服·유니폼)이 아니면 공수하고 경례해야 공손한 경례가 된다. (가) 의식에서의 경례 (허리굽힘) 의식에서의 경례 전통적인 절도 의식행사에서는 한 번만.. 역사/일반상식 2006.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