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연례의 의미 김남식
수연이란 어른의 생신에 아랫 사람들이 상을 차리고 술을 올리며 오래 사시기를 바라는 의식이다.
古禮에는 수연례란 말이 없고 헌수가장례(獻壽家長禮)라 하였다.
(수연례의 종류)
아랫 사람이 태어난 날을 생일(生日)이라 하고 웃어른의 생일은 생신(生辰)이라 한다.
웃어른의 생신에 자제(子弟)들이 술을 올리며 장수를 비는 의식이 수연이므로
아랫사람이 있으면 수연례를 행하는 게 도리이다.
수연의식 이름과 종류는 다음과 같다.
① 육순(六旬) : 60세 때의 생신이다. 육순이란 열(旬)이 여섯(六)이란 말이고,
육십 갑자 (六十甲子)를 모두 누리는 마지막 나이이다.
② 회갑·환갑(回甲·還甲) : 61세 때의 생신이다. 60갑자를 다 지내고 다시 낳은 해의
간지가 돌아왔다는 의미이다.
③ 진갑(陳·進甲) : 다시 60 갑자가 펼쳐져 진행한다는 의미이다. 62세 때의 생신이다.
④ 미수(美壽) : 66세 때의 생신이다.
옛날에는 66세의 미수를 별로 의식하지 않았 으나 77세 88세 99세와 같이
같은 숫자가 겹치는 생신을 이름 붙였으면서 66세 를 지나칠 수는 없는 것이다.
66세는 모든 사회활동이 성취되어 은퇴하는 나이이면서도 아직은 여력이 있으니
참으로 아름다운 나이이므로 '美壽'라 하고
또 '美'자는 六十六을 뒤집어 쓰고 바로 쓴 자이어서 그렇게 이름 붙였다.
⑤ 칠순·희수(七旬·稀壽) : 70세 때의 생신이다.
옛글에 "사람이 70세까지 살기는 드물다 (人生七十古來稀)"라는 데에서 희수란 말이 생겼는데
그런 뜻에서 희수라 한다면 "어른이 너무 오래 살았다"는 의미가 되어 자손으로서는 죄송한 표현이다
열이 일곱이라는 뜻인 칠순(七旬)이 좋다.
⑥ 희수(喜壽) : 77세 때의 생신이다. '喜'자를 초서로 쓰면 七十七이 되는데서 유래 되었다
⑦ 팔순(八旬) : 80세 때의 생신이다. 열이 여덟이라는 말이다.
⑧ 미수(米壽) : 88세 때의 생신이다. '米'자가 八十八을 뒤집고 바르게 쓴데서 유래되었다
⑨ 졸수·구순(卒壽·九旬) : 90세 때의 생신이다.
'卒'자를 초서로 쓰면 九十이라 쓰여지는데서 졸수라 하는데 '卒'이란 끝나다 마치다의 뜻이므로
그만 살라는 의미가 되어 자손으로서는 입에 담을 수 없다.
오히려 열이 아홉이라는 구순(九 旬)이 좋다.
⑩ 백수(白壽) : 99세 때의 생신이다.
'白'자가 '百'자에서 '一(하나)'를 뺀 글자이기 때문에 99로 의제해서 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