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 게 비지떡
하찮고 값어치가 없는 것을 표현 할때 흔히 사용하는 속담이 바로 '싼 게 비지떡'이다
시장통에서 막 굴러다니는 헐한 물건이나 또는 저가로 들여오는 외제 물건을 지칭할때 사용하는데
무슨 물건이든지 값이 싼 물건은 품질도 그 만큼 좋지 못하다는 말로 전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 속담의 어원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싼 게 비지떡이란 말과는 전혀 다른 다른 의미가 담겨져 있다
때는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충북 제천의 봉양면과 백운면 사이에 있는 박달재는
경상도 지방에서 한양으로 올라 가려면 꼭 거쳐야 하는 교통의 요지였다
박달재 근처 산골에는 주로 과거를 보러가던 선비들이 들렀던 작은 주막이 많았다고 한다
그 주막의 주모는 하룻밤을 묵고 길을 떠나는 선비들에게 늘 보자기에 무언가를 싸서 주었는데
선비들이 "싼 것이 무엇입니까" 라고 물으면
주모는 "싼 것은 비지떡이요, 가다가 출출할 때 드세요" 라고 했다고 한다
비지떡은 비지에 쌀가루나 밀가루 등을 넣어 동그랗게 만들어
기름에 지져서 붙여낸 음식으로
지금은 잘 먹지 않지만 옛날 춘공기 때는 두부를 하고 남은 비지로 자주 해먹던 음식이다
한양으로 올라가는 선비들에게 먹을 수 있는 주막이 흔지 않던 그 시절
싼 게 비지떡은 주모가 길떠나는 선비에게 배려의 마음이
담긴 도시락을 싸 주는 정 깊은 말이다
그런데 지금은 그와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볼품없는 물건을 말 하거나 상대의 대접이 시원치 않으면 그렇게 말하는 것 같다
'책방 > 시와창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콩글리쉬 (0) | 2014.02.08 |
---|---|
고사성어 사자성어 총람 (0) | 2014.01.25 |
새로운 가족의 호칭 (0) | 2014.01.17 |
시조의 기초 (0) | 2013.12.20 |
남녀의 이름 변천사 (0) | 2013.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