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시사뉴스

중국 내 조선족 학교 80% 사라졌다

시인김남식 2021. 1. 18. 07:48

중국 내 조선족 학교 80% 사라졌다

서울신문

 

중국 둥베이3성(지린·랴오닝·헤이룽장)에서 한국계 중국인인 ‘조선족’이 해마다 줄어 한민족 학교가 20년 사이 80% 가까이 사라졌다.

17일 랴오닝신문에 따르면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조선족 정규 학교는 1000개가 넘었지만 지금은 225개만 남았다. 주민 상당수가 한국이나 중국 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해 학생이 크게 감소한 탓이다. 베이징에서 만난 한 조선족은 “지금 지린성 옌볜 등에는 일자리가 거의 없다”면서 “한국 등에서 가족에게 보내는 돈으로 지역 경제가 유지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라고 말했다.

중국 내 한민족 교육은 1906년 옌볜 룽징에 세워진 서전서숙이 시초다. 이후 한인들이 자발적으로 세운 학교들이 생겨났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설립 뒤에는 소수민족 우대 정책에 따라 조선족 고등교육 기관인 옌볜대학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개혁개방 정책이 본격화되자 조선족들은 보다 나은 환경을 찾아 이곳을 떠났다. 2010년만 해도 중국 내 조선족 183만명 가운데 100만명 넘게 둥베이3성에 살았지만, 지금은 50만명도 남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옌볜조선족자치주 학생신문인 조선족중학생보에 따르면 1990년대 초만 해도 조선족 중고등학교 재학생이 40만명에 달했지만 2015년에는 2만 3000명으로 급감했다. 헤이룽장성 퉁화의 조선족학교 교장을 역임하고 한국으로 건너온 박동화씨는 “대부분 조선족 학교에 학생이 부족해 중국인 학생을 받는다”면서 “이 때문에 교과서도 조선어 교재가 아니라 중국어 교재를 쓴다”고 밝혔다.

문민 재한조선족교사협회장은 “조선족학교는 전통적으로 학생과 교사가 모두 조선족이고 조선족자치구에서 직접 만든 교재를 활용했지만, 지금은 근간이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사정이 이렇다 보니 학부모뿐 아니라 교사들조차도 교육 환경이 나은 중국 학교로 자녀를 보내는 사례가 늘었다”고 안타까워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역사 > 시사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세훈, 서울 25개 자치구 전 지역서 승리  (0) 2021.04.08
바늘구멍 된 실손보험  (0) 2020.10.05
대통령 선거  (0) 2020.09.29
북한,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0) 2020.06.17
21대 국회의원  (0) 2020.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