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십구재 49제[四十九齋] 솔새김남식
불교에서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돌아가신 분의 명복과
다음生에 좋은 곳에 태어나길 기원하며 거행하는 불공 의식을 말한다
원칙적으로는 매 7일마다 7차례 재를 지내므로 칠칠재(七七齋)라고도 한다.
구사론 俱舍論에 의하면 한 인간의 존재 양상은
4유(有)로 구분되는데
생명이 결성되는 찰나를 생유(生有),
이로부터 임종 직전까지를 본유(本有),
임종하는 찰나를 사유(死有),
이로부터 다시 생명이 결성되는 생유 이전까지를 중유(中有)
또는 중음(中陰)이라 한다.
따라서 인간이 죽으면 중음(中陰)이라고 불리는 중유(中有)의
상태로 얼마 동안 있게 된다.
구사론〉과 〈유가사지론 瑜伽師地論〉 등은 중유에 대해
만일 출생의 조건을 만나지 못하면 7일을 7번 (7심재판)까지 경과 하는데
그 최대 기간은 49일이라 한다.
즉, 마지막 49일째는 반드시 출생의 조건을 얻어
다음 生의 형태가 결정 된다는 것이다.
참으로 기가막힌 이론이다
불교에서 사십구재가 돌아 가신 분의 명복을 비는 의식으로 정착되고
중시된 것은 이런 관념에서 연유한다.
사십구재는 중유(中有) 상태의 중음신(中陰身)이 좋은 세계에 태어 나도록
명복을 기원하는 불공 의식이며,
7일마다 칠재(七齋)까지 불경을 읽고 천도재(불공 과 제사)를 올린다.
49제를 지내야 이승에서의 미련을 버리게 된다고 한다
49제의 계산법은 사망한 날로 부터 49일이다
'역사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인빙자 간음죄 한다는 간통죄폐지 (0) | 2013.08.12 |
---|---|
대한민국 등록문화재 (0) | 2013.08.07 |
우리나라 시도별 총 인구수 (0) | 2013.07.05 |
전국 한글외자 지역이름 (0) | 2013.06.30 |
전국 읍지명 - 군청소재지 제외 (0) | 201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