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무기 보유국 List of states with nuclear weapons
핵 확산 금지 조약(NPT)에서 인정하는
핵무기 보유국은 미국, 영국, 러시아, 프랑스, 중화인민공화국 5개국이다.
그러나 인도와 파키스탄은 각각 1974년과 1998년 핵실험을 통해
이스라엘은 핵실험은 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북한이 핵실험을 계속하는 목적은 이들 세 나라처럼 비공식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기 위해서이다
북한은 실제 지난해 개정 헌법에 핵보유국임을 천명하기도 했다.
일단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게 되면 핵폐기가 아닌 핵감축 의무만 지면 되고
국제적인 영향력도 무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전세계 핵폭탄 개발역사와 핵폭탄 보유국가
1. 미국 1945년 7월16일 ; 핵실험 성공 - 첫번째 핵보유국
2. 소련 1949년 8월29일 ; 두번째 핵보유국
3. 영국 1952년 10월 3일 ; 호주서쪽 태평양에서 핵실험성공 - 세번째 핵보유국
4. 프랑스 1960년 2월13일 ; 사하라사막 핵실험 성공 - 네번째 핵보유국
5. 중국 1964년 10월16일 ; 신장 로프노르 핵실험 성공 - 다섯번째 핵보유국
6. 인도 1974년 5월01일 ; 핵장치실험성공 - 여섯번째 핵보유국
7. 파키스탄 1972년개발시작 1998년 5월2일 ; 5기의 핵장치 폭발성공 - 핵보유국
8. 이스라엘은 100여발의 핵폭탄을 보유하고 있으나 공식적으로 인정받기 원하고 있다.
9. 북한
핵실험으로 제재를 받았던 인도와 파키스탄이 미국과 평화적 핵사용 협정을 체결하며
핵보유를 인정받은 선례도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하는 이유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우리 정부는 여전히 북한의 핵보유국으로서의 지위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목적은 국제사회에서 '실질적 핵보유국(real nuclear power)
일본과 중국, 타이완 등 아시아 주변 국가들도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핵무기와 핵물질이 국제 테러집단에 흘러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재제와 감시는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핵확산 금지조약 [NPT,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핵무기 확산을 막기위해 국제연합(UN)에서 1969년 제정한 국제조약.
한국은 1975년 4월 23일 정식 비준국이 되었으며 북한은 1985년 12월 12일 가입했으나 1993년 3월 12일 탈퇴했다.
현재 회원국은 탈퇴 의사를 밝힌 북한을 제외하고 187개국
핵 보유국 중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은 불참하고 있다.
미국 핵미사일 전문가 브루스 블레어 박사는
비지니스 인사이더와 가진 인터뷰에서 북한이 먼저 핵무기로 미국이나 동맹국에
핵무기를 발사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 2019.08.10 뉴스
블레어 박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그럴 경우
체제가 완전히 붕괴할 것이란 사실을 분명히 알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북한이 모험을 시도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지만
만약 미국을 공격한다면 보유하는 핵폭탄 가운데 가장 큰 B83 수소폭탄 하나를
평양에 떨어뜨릴 경우 북한 전체인구의 6%에 해당하는 150만명이 목숨을 잃고
부상자까지 합치면 사상자는 23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1945년 미국에 의해 처음 개발한 핵을 일본에 투하한 이후 핵전쟁은 한번도 일어나지 않았다
'역사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행정구역. (0) | 2011.07.04 |
---|---|
공중전화 카드를 판매합니다 (0) | 2011.05.14 |
새로운 가족과의 호칭 (0) | 2011.01.14 |
히말라야 등정 (0) | 2010.12.29 |
신문발행부수 (0) | 2010.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