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위 계승에 관하여
조선왕조의 법통(계승)에 관하여 상식으로 알려 드릴께요
끝까지 읽어 보세요
조선의 왕위 계승 법칙은 부자 계승입니다.
즉 아버지와 아들의 계승입니다
그 부자 계승이 친부 - 친자이든,
양부-양자이든 간에 부자 계승이 원칙입니다.
부자계승이 아닌 형제 상속도 간혹 볼 수 있었는데
정종- 태종.
연산군 - 중종
인종- 명종.
경종 - 영조의 왕위 계승은 형제 계승이다.
연산군 - 중종의 계승은 반정에 의한 것이라 제쳐 두고
정종 - 태종은 정종이 태종을 왕세제(弟)가 아니라
왕세자로 책봉했습니다.
정종이 태종을 동생이 아니라
아들로 인정하고 선위하겠다는 의지였다
인종 - 명종 계승은
문정왕후의 입김으로 인종이 경원대군[명종]에게 왕위를 물려준 것인데
실제 인종의 후사를 인종의 조카를 양자삼아
즉위시키는 것이 원칙 이었습니다.
바로 이 문제 때문에 인종의 외숙 윤임이 계림군을
인종의 양자로 삼으려했던 것이죠.
이 문제를 꼬투리 삼아 소윤은 을사사화를 일으키게 된 것이다.
경종 - 영조 계승
역시 원래는 경종의 아들뻘에서 후사를 간택해야 했으나,
영조가 삼종[효종,현종,숙종]의
유일한 혈맥이란 이유 때문에(노론측의 주장)왕세제가 된 것이다.
어쨌든, 순항렬(부자 상속)도 아니고
동항렬(형제상속)도 아닌 역 항렬 계승이 일어난 적이 딱 한 번 있었는데
바로 헌종-철종 계승이다.
철종은 선왕인 헌종의 숙부 뻘이다.
만약 이렇게 역항렬 상속이 이루어지면 나중에 왕이 종묘에 제사를 하러 갈 때
자신 보다 밑의 항렬인 선왕에게 절을 해야 하는 일이다.
이렇게 되면 선왕인 헌종은 제사를 받들어 줄 후계자가 없게 되는데
왕위 계승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철종은
사도세자(장조)- 은언군 - 전계대원군 - 철종으로 이어지는 가계이다.
철종을 세울때 순원왕후 안동김씨는 종법을 무시하고
철종을 순조의 양자로 입적시킵니다.
순조의 양자는 자신의 아들이고,
그로 인하여 신정왕후 풍양조씨의 세도도 막을수 있겠죠.
왜냐면, 익종 - 철종은 형제사이기 때문에 종법상 동등한 지위를 가지기 때문이죠..
그래서 철종의 정사에 형수뻘인 조대비가 간섭 할 수도 없는 것
흥선대원군은 종법상 익종-철종과 형제입니다.
(사도세자 - 은신군 - 남연군 - 흥선대원군)
철종의 후계자로써는 원천적으로 될수 없는 처지였다.
그랬기 때문에, 자신도 자신의 아들을 왕위에 세우려고 했지
자신이 왕이 되보려고는 노력한 흔적이 없지 않습니까?
조대비[신정왕후]는 고종을 선택할때 철종의 후계자가 아닌,,,
익종[조대비의 남편]의 후계자로 세우겠다고 했습니다.
그 이유는 익종의 제사를 받들어야 할
헌종의 후계자가 세워지지 못한 탓이지요..
그리하여 자신이 고종의 양모로서 권세를 휘두를 욕심도 있었구요..
같은 항렬에 속하는 고종의
형[이재면]은 왜 왕위 계승에서 배제 되었다
장자는 본가[흥선군]의 대통을 이어야 했다.
방계에서 왕을 선택 할 때는 혼인하지 않는 사람을 맞아들이는 게 관례입니다..
이재면은 고종 즉위 당시 이미 결혼한 상태였다
역사를 깊이 들어가서 공부하면 무지 재미있죠?
'역사 > 고려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원릉 (0) | 2011.03.24 |
---|---|
조선왕릉 및 역사 읽기 (0) | 2011.02.14 |
조선은 어떻게 500년이나 갔을까? (0) | 2010.12.01 |
을사오적 (0) | 2010.10.29 |
인조반정의 공훈 이서 장군 (0) | 2010.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