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방/시와창작

띄어쓰기 규정

시인김남식 2012. 10. 7. 14:55

 

띄어쓰기 규정

1. 모든 단어는 띄어 쓰되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부산까지, 사람마다, 꽃이다
2.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것, 바, 줄, 수, 데, 뿐, 리, 듯, 체, 채, 양
3.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
  한 사람, 한 개, 한 마리


4. 수를 적을 때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
  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구 ( 12억 3456만 78999)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
  그때 그곳, 한잎 두잎, 좀더 큰것

5. 보조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불이 꺼져 간다(꺼져간다) 견디어 내다(견디어내다) 밝아 오다(밝아오다)
6.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에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이성희, 이시리 선생님, 채영신 씨
7. 성명 이외의 고유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다.
  소현 초등학교 (소현초등학교), 한국 대학교 사범 대학(한국대학교 사범대학)

8.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쓰되 붙여 쓸 수 있다
9. 두 말을 이어주거나 열거할 적에는 띄어 쓴다
  청군 대 백군
  사과, 배, 귤, 감 등    영희, 인자, 진수, 동환 들
10. 복합어는 한 덩어리 되게 붙여 쓴다
  샘솟다, 지난번, 눈웃음, 우리글, 아침때, 큰아버지, 그만두다

11. 파생어는 한 덩어리로 쓴다
  강추위, 맨발, 웃어른, 새파랗다, 잔소리
12. 접미사는 붙여 쓴다
  욕심꾸러기, 한국어, 천여 명, 십 원짜리
13. 첩어 또는 준첩어는 한 덩어리
  가깝디가깝다, 머나먼, 차례차례, 여기저기, 하루하루

단어의 종류

*체언 :
1. 명사 : 1)자립명사
           2)의존명사 - 것, 바, 줄, 수, 데, 뿐, 리, 듯, 체, 채, 양
2. 대명사
           1)지시대명사 : 여기, 저기, 거기, 어디
           2)인칭대명사 : 1, 2, 3인칭(나, 너, 그, 우리)
3. 수사  
   1) 서수사 : 첫째, 둘째, 제일, 제이
   2) 양수사 : 하나, 둘, 일, 이

*관계언
4. 조사
   1) 격조사
    ① 주격 : 이, 가, 께서
    ② 서술격 : 다(이다, 입니다, 입니까, 이지요)
    ③ 목적격 :을, 를
    ④ 보격 : 이, 가(되다, 아니다 앞)
    ⑤ 관형격 : 의
    ⑥ 부사격 : 에, 에서, 로, 으로, 부터, 까지
    ⑦ 호격 : 아, 야, 이시여
   2) 보조사 : 은, 는, 도, 만, 조차, 랑

*용언
5. 동사
6. 형용사

*수식언
7. 부사
8. 관형사
  1) 수관형사 : 한, 두, 세
  2) 지시관형사 : 이, 그, 저
  3) 성상관형사 : 새, 헌 옛

*독립언
9. 감탄사 : 어머나, 아이구, 아차

 

 

http://cafe.daum.net/welifelove

'책방 > 시와창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詩를 많이 읽어 보자  (0) 2012.10.15
잘못 쓰기쉬운 우리말   (0) 2012.10.11
어처구니(於處軀尼)   (0) 2012.09.21
좋은 시를 쓰려면   (0) 2012.09.13
시의 운율과 표현방법  (0) 2012.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