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희문
광희문(光熙門)은 조선시대 서울의 사소문 중 하나로 동남쪽에 있었던 문이다.
광명(光明)의 문이라는 뜻에서 광희문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태조 5년(1396) 8월부터 9월까지 행한
2차 도성 수축 공사 때 다른 문들과 함께 누각을 올려 완성했다.
일제강점기에 문루가 망가졌다가 1975년 문을 남쪽으로 옮겨 문루와 함께 복원했다.
광희문을 수구문(水口門)이나 시구문(屍口門)이라고도 불렀다.
도성의 장례행렬이 통과하던 문이어서 시구문이라고도 했다
다른 서울성곽의 문과 달리 광희문의 원래 문루는 약간 특이했다. 보통의 문은 홍예와 붙어 있는 반면, 광희문의 문루는 나무 기둥으로 연결되는 형식이었다.
당시엔 '아무리 지독한 병마라도 수많은 원귀에 단련된 수구문에는 꼼짝도 못 할 것'이라 하여, 광희문의 돌을 갈아 만든 돌가루가 '수구문 돌가루'라는 만병통치약으로 통했었다.
'기행 > 여행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금대 (0) | 2011.10.21 |
---|---|
중원미륵리사지 원터 (0) | 2011.10.21 |
해미읍성 (0) | 2011.09.13 |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0) | 2011.09.03 |
청주 수암골 (0) | 2011.08.11 |